오늘은 K-패스(구 알뜰교통카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올해 대중교통비가 크게 인상되면서 교통비가 많은 분들에게 부담이 느껴질 정도가 된 것 같습니다.
그러다보니, 교통비를 조금이나마 더 아낄 수 있는 방법들을 찾곤 하는데요.
이용하는 체크카드나 신용카드에서 주는 할인 혜택들을 찾아보곤 합니다. 그렇지만, 그렇게 많이 주진 않아서 언제나 아쉽긴 하죠.
다가오는 10월에는 지하철 요금도 성인 기준 1,250원에서 1,400원으로 오른다고 합니다. 매일 지하철이나 버스를 타면서 지출하고 있는 교통비를 아낀다면 고정비 지출을 줄일 수 있어, 가계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그래서 교통비 아끼는 방법 중, 가장 효율적인 알뜰교통카드 플러스에 대해서 함께 알아보고자 합니다. 저는 매월 15,000원 이상씩 환급금으로 혜택을 보고 있습니다.
K-패스 (구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란 어떤 제도이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어떤 체크카드가 좋은지 함께 알아보고자 합니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란?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란 대중교통 이용하기 전, 후로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해주고, 교통비를 할인받는 제도입니다.

2022년 기준, 월 평균 13,369원(마일리지 9,245원, 카드할인 4,124원)을 절약할 수 있어서 월 평균 대중교통비의 21%를 절감했다고 합니다.
다만, 알뜰교통카드의 마일리지는 중앙정부와 지자체 예산으로 지급되기에, 본 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 주민만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중앙정부나 지자체 예산이 부족하거나 조기에 소진될 시, 지급액이 변경되거나 또는 지급이 중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사용방법
1) 알뜰교통카드 신청(선불/후불) 및 발급
2)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앱 다운로드 및 회원가입
3) 대중교통 이용 전, 앱에서 ‘출발하기’ 버튼 누르기
4) 앱에 등록된 카드로 대중교통 이용하기
5) 목적지 도착 후, 앱에서 ‘도착하기’ 버튼 누르기
이와 같이 진행할 시, 앱에서 버튼을 누른 지점과 대중교통을 이용한 지점 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마일리지가 적립됩니다.
지금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를 이용해야 하는 이유
2023년 7월부터 알뜰교통카드는 플러스라는 이름을 달고 혜택이 업그레이드 되었습니다.
기존에 일부 카드사에서만 제공하던 혜택을 더 많은 카드사로 확대했으며, 최대 적립횟수 및 최대 적립금을 확대하여 이용자들이 더 많은 혜택을 받도록 하였습니다.
1) 적립횟수 상향
최대 적립횟수를 기존 44회에서 60회로 상향하였고, 이에따라 최대 적립금은
최소 월 1.1만원에서 1.5만원으로,
최대 월 4.8만원 에서 6.6만원으로 증가했습니다.
2) 카드사 확대
기존에 신한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 티머니, 로카모빌리티, DGB 총 6개 카드사에서만 발급했었으나,
플러스부터는 국민카드, 농협카드, IBK 기업은행, 케이뱅크, 광주은행, BC바로, 삼성카드, 현대카드가 추가되어 확대되었습니다.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지급 기준 및 지급 방법
알뜰교통카드의 마일리지를 지급 받기 위해서는 최소 월 15회 이상 이용해야 합니다.
만약 대중교통을 월 15회 미만으로 사용하신다면 다른 카드의 할인・적립 혜택을 알아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대중 교통 1회 이용 시, 이동거리는 최대 800m까지만 인정되며, 마일리지는 이에 비례하여 지급합니다.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는 카드사마다 다를 수 있으나, 청구 할인, 계좌 입금, 충전 방식 등 카드사의 지급 방식에 따라 지급하게 되어 있습니다.
이 외에 카드사마다의 추가 혜택은 별도로 이뤄집니다.
추가로, 물의 날, 지구의 날 등 환경관련한 기념일이나, 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된 날에는 마일리지가 2배 적립되오니, 이러한 날에는 꼭꼭 잊지 말고 대중교통 이용해봐요!
K-패스의 등장
2024년 4월, K-패스의 등장하면서, 알뜰교통카드는 역사로 사라졌습니다. 알뜰교통카드의 대부분의 혜택을 다 가지고 넘어왔는데요.
이전에 혜택을 받을 수 있던 것과 같이 K-패스에서도 환급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래의 링크 방문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세요!
<사이트방문>
K-패스 (구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이용 가능 지역
현재, K-패스 (구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는 강원, 전라, 경상북도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전국에서 사용가능합니다.
가입진행하시기 전에, 먼저 거주하시는 지역이 이용가능한 곳인지 확인하시고 가입하세요!
시・도 | 해당지역 |
특별시 및 6대 광역시 | 서울(전역), 부산(전역), 대구(전역), 광주(전역), 대전(전역), 인천(전역), 울산(전역), 세종(전역), 제주시, 서귀포시 |
경기도 | 경기도(전역) |
강원도 | 춘천, 강릉, 원주, 홍천, 양양 |
충청도 | 충청북도(청주, 옥천, 제천, 충주) 충청남도(전역) |
전라도 | 전라북도(전주, 완주, 익산, 남원, 군산, 정읍) 전라남도(무안, 순천, 신안, 목포, 여수, 해남, 광양, 나주, 담양) |
경상도 | 경상북도(포항, 경주, 영주, 김천, 영천, 구미, 상주, 칠곡, 경산, 안동) 경상남도(전역) *함안군 제외 |
K-패스 (구 알뜰교통카드) 체크카드 비교
아무래도 대중교통을 위해 사용하는 카드의 경우, 연회비를 내지 않는 체크카드를 많은 분들이 이용하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혹은 체크카드의 경우, 최소 실적이 있기 때문에, 신용카드로 연회비를 조금 내고 큰 혜택을 받는게 이득일 것이라고 고려하시는 분들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는 최소실적을 채우기 위해 불필요한 지출을 하게 되고,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에, 카드사 혜택을 조금받더라도 체크카드를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카드사 중에는 교통비를 전원실적에 포함시키는 카드사도 있으니 그 부분도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카드사 | 카드사 혜택 | 실적별 혜택 특이사항 |
신한카드 | 최대 10% 캐시백 | 20-30만원 미만 : 2천원 30-50만원 미만 : 3천원 50-100만원 미만 : 5천원 100만원 이상 : 7천원 |
우리카드 | 3천원 캐시백 | 대중교통 이용금액 5만원 이상 최소 실적 20만원 |
국민카드 | 대중교통 10% 적립 | 최소실적 20만원이상 2천원 한도 |
하나카드 | 대중교통 15% 캐시백 | 대중교통 이용금액 월 3만원 이상 시, 최대 5천원 최소 실적 25만원 |
케이뱅크 | 이용건당 300원 | 대중교통 이용금액 5만원 이상시, 3천원 캐시백 최소 실적 30만원 |
기업은행 | 이용건당 100원 할인 | 30만원 이상, 월 최대 1천원 할인 |
삼성카드 | 대중교통 10% 캐시백 | 30만원 이상 2,500원 |
농협카드 | 대중교통 10% 할인 | 80만원 미만 3천원 80만원 이상 5천원 |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시는 분이시라면 본인의 지출성향에 맞는 K-패스 (구 알뜰교통카드) 발급하셔서 이용하시길 추천드립니다!